인덱싱 패턴
인덱싱 패턴은 배열(Array)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접근합니다. 배열은 순서가 있는 컬렉션으로, 각 요소는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저장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배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:
let array = [value1, value2, value3, ...];
console.log(array[0]); // 첫 번째 요소에 접근
console.log(array[1]); // 두 번째 요소에 접근
인덱싱 패턴은 순서가 중요하고 각 요소에 번호를 부여하여 접근하는 방식입니다. 배열은 인덱스를 기반으로 빠른 접근이 가능하며, 요소들을 반복하여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.
딕셔너리 패턴은
자바스크립트에서 딕셔너리 패턴은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입니다. 딕셔너리는 객체(object)를 활용하여 구현됩니다. 객체는 중괄호 {}
를 사용하여 생성하며, 각 속성(property)은 키와 값으로 구성됩니다.
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딕셔너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:
let dictionary = {
key1: value1,
key2: value2,
key3: value3,
// ...
};
여기서 key1
, key2
, key3
는 각각의 키(key)이고, value1
, value2
, value3
은 해당 키에 대응하는 값(value)입니다. 키는 일반적으로 문자열 형태로 사용되지만, 다른 자료형도 가능합니다.
딕셔너리에 접근할 때는 키를 사용하여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 다음은 예시입니다:
let dictionary = {
name: "John",
age: 30,
city: "New York"
};
console.log(dictionary["name"]); // "John"
console.log(dictionary.age); // 30
console.log(dictionary["city"]); // "New York"
딕셔너리에 새로운 키-값 쌍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값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:
dictionary["occupation"] = "Engineer";
dictionary.age = 31;
console.log(dictionary);
// {
// name: "John",
// age: 31,
// city: "New York",
// occupation: "Engineer"
// }
또한, delete
키워드를 사용하여 딕셔너리에서 특정 키-값 쌍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:
delete dictionary.city;
console.log(dictionary);
// {
// name: "John",
// age: 31,
// occupation: "Engineer"
// }
딕셔너리 패턴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패턴 중 하나이며, 키-값 쌍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결론
딕셔너리 패턴과 인덱싱 패턴은 각각 다른 데이터 구조로서 고유한 특성과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, 데이터의 성격과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패턴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